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52)
HardWare Driven Power Management- Background & Interconnect [본글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김영근 교수님 COSE 415 저전력컴퓨팅 수강중 중간고사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Background Energy 물리적인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Power 단위 시간당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Power Consumption Device가 operating 하는 동안 사용하는 power Dynamic Power + Leakage Power로 이루어짐 Dynamic Power Switching Power + clock Power 로 이루어짐 Runtime동안 dynamical 발생하는 power Switching Power Energy Drawn 상태에서 Capacitance(전기 용량)를 채우기 위한 Energy와 저장하는데 드는 에너지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
선형회귀를 이용한 예측과 그 응용 [본글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유용재 교수님 COSE 471 데이터과학 수강중 중간고사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상관 계수와 상관분석의 기초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두 변수 사이에 존재하는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수치로 나타낸 것 크기는 -1 에서 1 사이. 0일 경우 상관관계가 없음 주의 사항 선형적인 상관관계만을 드러낸다 큰 상관 계수가 인과관계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상관 계수와 기울기를 혼동 해서는 안된다.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아닌 순위 기반으로 상관계수를 도출함 Kendall tau Correlation Coefficient 값이 아닌 순위 기반으로 상관계수를 도출한다는 점은 동일함 ((concordant ..
공공 데이터 품질 관리와 오류율 [본글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유용재 교수님 COSE 471 데이터과학 수강중 중간고사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데이터 품질 지표 DQI 데이터 품질은 DQI(Data Quality Index) 지표를 통해서 알 수 있다. 일관성 데이터 품질 오류율 중 표준 오류율과 직결됨 개체의 속성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으며 중복 되지 않는가? 완전성 데이터 품질 오류율 중 구조 오류율과 직결됨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있어 논리적 설계와 물리적 구조가 올바르게 구축되었는가? 정확성 데이터 품질 오류율 중 값 오류율과 직결됨 데이터가 유효한 범위 및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준비성 보안성 적시성 유용성 데이터 품질 오류율 산정 품질 오류율(%) = 0.7 x E값 + 0.2 x E표준 + 0.1 x E구조..
OpenApi와 공공데이터에 대한 이해 [본글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유용재 교수님 COSE 471 데이터과학 수강중 중간고사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공공데이터 공공기관이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는 데이터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DB, 전자화된 파일이 있음. 기계 판독이 가능한 형태로 정비하고자 노력을 해야한다. Open Data 5 star World Wide Web의 창시자인 Time Berners-Lee 가 주장함. 오픈데이터를 5가지의 단계로 분류를 함 1. 특정한 SW에서 읽기만 가능. 자유로운 수정 및 변환이 불가 기계 판독 기준에서 미충족 포맷에 속함 ex) PDF 2. 특정 sw에서 읽기,수정, 변환이 가능 기계 판독 기준에서 미충족 포맷에 속함 ex) HWP,XLS,JPG,PNG,MP3 3. 적어도 하나의 비독점..
[데이터베이스] 주요 개념 정리2 [본글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정순영 교수님 COSE 371 데이터베이스 수강중 중간고사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Magnetic Hard Disk Mechanism Platter: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CD라고 생각하면 된다. Track: Platter 하나에 50K-100K 개가 존재한다. Sector: Track 하나당 500~2000개 성능 분석 지표 : Access time= Seek time + Rotational delay Seek time: Read/write Head가 track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Rotational delay: platter rotate해 sector가 read write head에 도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Query Processing & ..
[데이터베이스] 주요 개념 정리 1 [본글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 정순영 교수님 COSE 371 데이터베이스 수강중 중간고사 정리를 위해 작성하는 글임을 밝힙니다.] Intro Entitiy, Instance,Schema 용어 정리 Schema: logical Structure of a Database StudentID: 학생 고유의 식별 번호 (예: char(8)) Name: 학생의 이름 (예: varchar(100)) Major: 전공 (예: varchar(100)) EnrollmentDate: 등록 날짜 (예: date) Entitiy: An entity is an object that exists. Major entity에는 Physics,Math,English가 있다와 같이 쓰인다 Instance: the actual content..
[K8S] 쿠버네티스 실습 관련 개념 정리 쿠버네티스 실습하기전에 관련 개념을 정리 해보고자 한다. Minikube minikube는 로컬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macos,linux,windows에서 실행 할 수 있게끔 하는 툴이라고 한다. Iperf3 네트워크 성능을 측정하고 튜닝을 하기 위한 툴이다. TCP,UDP,IPv4,IPv6등을 폭 넓게 지원한다. Node 쿠버네티스에서 최소 단위의 컴퓨팅 하드웨어이며, 하나의 개별 물리적 머신이다. Cluster 리소스 공유와 균형 있는 배분을 위해 노드를 묶은 그룹 pod 하나 혹은 여러개의 컨테이너의 모음이며, 클러스터 관리를 통한 리소스 공유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패키지로 묶여 있다.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workloads/pods/ Pod..
[K8S] 쿠버네티스의 기본 개념에 대하여 쿠버네티스 탄생 배경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는 다음 과정을 거치며 발전을 해왔다. 하나의 물리서버를 사용 -> 가상화 -> 컨테이너(도커). 하나의 호스트 머신에서 도커엔진을 구동하다보면 CPU,메모리 등 자원이 부족해지게 된다. 성능이 매우 좋은 서버 호스트 머신을 구매하면 해결되지만 이보다 나은 해결책은 여러대의 서버를 클러스터로 만들어 하나의 자원 풀로 만들 필요가 있다. 도커 스웜과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도 존재하지만, 이외에 많은 상세한 기능 및 장점을 지닌 쿠버네티스가 등장을 하게 되었다. 쿠버네티스란? 쿠버네티스는 키잡이, 파일럿을 뜻하는 그리스어로 컨테이너 기반의 워크로드,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기술로 구글에서 2014년에 오픈소스로 공개하였다. 컨테이너 오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