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ystem Software

[K8S] 쿠버네티스 실습 관련 개념 정리

반응형

쿠버네티스 실습하기전에 관련 개념을 정리 해보고자 한다.

 

Minikube

minikube는 로컬 환경에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macos,linux,windows에서 실행 할 수 있게끔 하는 툴이라고 한다.

 

Iperf3

네트워크 성능을 측정하고 튜닝을 하기 위한 툴이다. TCP,UDP,IPv4,IPv6등을 폭 넓게 지원한다.

 

Node

쿠버네티스에서 최소 단위의 컴퓨팅 하드웨어이며, 하나의 개별 물리적 머신이다.

 

Cluster

리소스 공유와 균형 있는 배분을 위해 노드를 묶은 그룹

 

pod

하나 혹은 여러개의 컨테이너의 모음이며, 클러스터 관리를 통한 리소스 공유의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패키지로 묶여 있다.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workloads/pods/

 

Pods

Production-Grade Container Orchestration

kubernetes.io

 

 

ReplicaSet

 

동일한 pod를 정해진 개수만큼 일정하게 유지함.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replicaset/

 

ReplicaSet

A ReplicaSet's purpose is to maintain a stable set of replica Pods running at any given time. Usually, you define a Deployment and let that Deployment manage ReplicaSets automatically.

kubernetes.io

 

 

 

Deployment

pod와 replicaset의 상위 개념으로, 파드의 새버전 롤아웃, 이전 버전으로 롤백이 가능함.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6069714/what-is-a-rollout-in-kubernetes

 

https://codefresh.io/learn/kubernetes-deployment/kubernetes-deployment-yaml/#:~:text=A%20Kubernetes%20Deployment%20YAML%20specifies,field%20of%20the%20YAML%20configuration.

 

Metric-Server

Kubernetes에서 클러스터의 성능 모니터링과 자동화된 확장 기능을 갖고 있다.

 

이를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메트릭을 실시간으로 확보 해야 되는데, metric-server가 이 역할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