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논문을 읽던 중 loop-back address에 대해서 공부하게 되었다.
Loop Back address란 Outgoing 중인 signal을 외부에 내보내지 않고 같은 컴퓨터로 돌아오게 하는 주소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local host라고도 부른다.
TCP/IP 네트워크에서는 127.0.0.1을 사용을 하며, 네트워크 관리자로 인해 local machine을 원격의 다른 컴퓨토 생각하게 한다.
예시를 알아보자.
React에서 터미널에
(laptop은 프로젝트 이름이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프로젝트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주소창의 localhost를 ip 주소 127.0.0.1로 바꾸어보자.
똑같은 화면이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응형
'System Softwa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iperf3 Ubuntu 20.04 환경에서 구동하기 위한 컨테이너 이미지 생성하기 (0) | 2024.02.07 |
---|---|
[논문 리뷰] An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f Container Networks -(2) (1) | 2024.01.30 |
[논문 리뷰] An Analysis and Empirical Study of Container Networks -(1) (0) | 2024.01.29 |
Event Driven MicroService란 무엇인가? (0) | 2024.01.25 |
[Docker]도커의 구조와 주요 용어 설명 (0) | 2024.01.16 |